초기불교의 중도와 무아 그리고 공의 의미를 경전의 사례들을 통해 간단히 정리하고,중국 삼론종에서 본 중도의 의미를《대승현론》에 제시된 사중이제(四重二諦)와 이제합명중도(二諦合明中道)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이를 바탕으로 현대과학에 나타난 중도와 공의 개념을 검토한다. 특히 사중이제(四重二諦)와 이제합명중도(二諦合明中道) 개념을 현대과학의 공간 개념 발전과정과 연관하여 논의하고,다시 일체개공(一切皆空)의 의미를 현대과학의 물질 개념과 연관하여 살펴본다. 또한 불교의 무아(無我)개념을 현대과학의 온생명 이론을 바탕으로 재해석해 본다.
중도와 뇌 건강
이경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서양에서 유래한 과학적 접근 방식을 통해 뇌의 구조에서부터 기능에 이르기까지 뇌에 관한 많은 단편지식들이 축적되었고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 지식들을 통합하여 좀 더 큰 관점에서 뇌의 작동 시스템을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연구의 흐름이 이어져 왔다. 이와 더불어 뇌 신경세포를 조절하여 기억이나 감정 등 뇌 기능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와 인간의 가치 그리고 인간다운 삶을 위해 뇌과학이 가야할 길이 무엇인지 고민해보는 계기를 드리고자 한다.